프로토콜 2
-
1.5.1 계층구조계층구조는 크고 복잡한 시스템의 잘 정의된 특정 부분을 논의할 수 있게 해주며, 이러한 단순화는 매우 중요하다. 시스템이 계층구조를 가질 때, 그 계층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현을 변경하는 것도 매우 쉽다.어떤 한 계층의 구현이 변하더라도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계층구조의 각 계층은 (1) 그 계층에서 어떤 동작을 취하고 (2) 그 계층 바로 아래 계층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한다.프로토콜 계층화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설계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네트워크 설계자는 프로토콜(프로토콜을 구현하는 네트워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을 계층(layer)으로 조직한다.즉, 각각의 프로토콜은 한 계층에 속하며, 프로토콜 계층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둘의 통합으로..
-
1.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위의 질문을 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존재한다.인터넷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에 대한 기술 (1.1.1)분산 애플리케이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킹 인프라스트럭처 관점에서의 인터넷을 기술 (1.1.2)1.1.1 구성 요소로 본 인터넷아래의 그림은 인터넷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인터넷(Internet)Network of Network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개의 컴퓨팅 장치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호스트(host), 종단 시스템(end system)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팅 장치e.g., 서버 (데스크탑 PC, 리눅스 워크스테이션, 웹페이지 등),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인터넷 ‘사물들’ (TV, 스마트 워치 등)통신 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