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을 남기자

전체 글 186

카테고리 설명
개발,CS,PS 기록을 남기려 합니다.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78 1978번: 소수 찾기 첫 줄에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이하이다. 다음으로 N개의 수가 주어지는데 수는 1,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주어진 수 N개 중에서 소수가 몇 개인지 찾아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줄에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이하이다. 다음으로 N개의 수가 주어지는데 수는 1,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주어진 수들 중 소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def isPrime(N): if N==1: return False for i in range(2,N): if N % i==0: return False return True n=in..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63 1963번: 소수 경로 소수를 유난히도 좋아하는 창영이는 게임 아이디 비밀번호를 4자리 ‘소수’로 정해놓았다. 어느 날 창영이는 친한 친구와 대화를 나누었는데: “이제 슬슬 비번 바꿀 때도 됐잖아” “응 지금 www.acmicpc.net 소수를 유난히도 좋아하는 창영이는 게임 아이디 비밀번호를 4자리 ‘소수’로 정해놓았다. 어느 날 창영이는 친한 친구와 대화를 나누었는데: “이제 슬슬 비번 바꿀 때도 됐잖아” “응 지금은 1033으로 해놨는데... 다음 소수를 무엇으로 할지 고민중이야" “그럼 8179로 해” “흠... 생각 좀 해볼게. 이 게임은 좀 이상해서 비밀번호를 한 번에 한 자리 밖에 못 바꾼단 말이야. 예를 들어 내가 첫 ..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34 두 자연수 A와 B에 대해서, A의 배수이면서 B의 배수인 자연수를 A와 B의 공배수라고 한다. 이런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최소공배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6과 15의 공배수는 30, 60, 90등이 있으며, 최소 공배수는 30이다.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졌을 때, A와 B의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1 ≤ T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T개의 줄에 걸쳐서 A와 B가 주어진다. (1 ≤ A, B ≤ 45,000) 출력 첫째 줄부터 T개의 줄에 A와 B의 최소공배수를 입력받은 순서대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import ..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32 1932번: 정수 삼각형 첫째 줄에 삼각형의 크기 n(1 ≤ n ≤ 500)이 주어지고,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정수 삼각형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7 3 8 8 1 0 2 7 4 4 4 5 2 6 5 위 그림은 크기가 5인 정수 삼각형의 한 모습이다. 맨 위층 7부터 시작해서 아래에 있는 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아래층으로 내려올 때, 이제까지 선택된 수의 합이 최대가 되는 경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아래층에 있는 수는 현재 층에서 선택된 수의 대각선 왼쪽 또는 대각선 오른쪽에 있는 것 중에서만 선택할 수 있다. 삼각형의 크기는 1 이상 500 이하이다.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각 수는 모두 정수이며,..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31 1931번: 회의실 배정 (1,4), (5,7), (8,11), (12,14) 를 이용할 수 있다. www.acmicpc.net 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 I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찾아보자. 단,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될 수 있다.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같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시작하자마자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회의의 수 N(1 ≤ N ≤ 10..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29 1929번: 소수 구하기 첫째 줄에 자연수 M과 N이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M ≤ N ≤ 1,000,000) M이상 N이하의 소수가 하나 이상 있는 입력만 주어진다. www.acmicpc.net M이상 N이하의 소수를 모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M과 N이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M ≤ N ≤ 1,000,000) M이상 N이하의 소수가 하나 이상 있는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한 줄에 하나씩, 증가하는 순서대로 소수를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def isPrime(N): if N==1: return False for i in range(2,int(N**0...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24 1924번: 2007년 첫째 줄에 빈 칸을 사이에 두고 x(1 ≤ x ≤ 12)와 y(1 ≤ y ≤ 31)이 주어진다. 참고로 2007년에는 1, 3, 5, 7, 8, 10, 12월은 31일까지, 4, 6, 9, 11월은 30일까지, 2월은 28일까지 있다. www.acmicpc.net 오늘은 2007년 1월 1일 월요일이다. 그렇다면 2007년 x월 y일은 무슨 요일일까? 이를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빈 칸을 사이에 두고 x(1 ≤ x ≤ 12)와 y(1 ≤ y ≤ 31)이 주어진다. 참고로 2007년에는 1, 3, 5, 7, 8, 10, 12월은 31일까지, 4, 6, 9, 11월은 30일까지, 2월은 2..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20 1920번: 수 찾기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개의 수들이 주어지는데, 이 수들 www.acmicpc.net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져 있을 때, 이 안에 X라는 정수가 존재하는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

카테고리
작성일
2023. 4. 14. 23:42
작성자
ssun_bear
반응형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78

 

1978번: 소수 찾기

첫 줄에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이하이다. 다음으로 N개의 수가 주어지는데 수는 1,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주어진 수 N개 중에서 소수가 몇 개인지 찾아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줄에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이하이다. 다음으로 N개의 수가 주어지는데 수는 1,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주어진 수들 중 소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def isPrime(N):
    if N==1: return False
    for i in range(2,N):
        if N % i==0: return False
    return True

n=int(input())
data=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cnt=0
for i in data:
    if isPrime(i)==1:
        cnt+=1

print(cnt)

문제 해설

소수를 찾는 기본적인 함수를 코드로 구현하였습니다.

반응형
카테고리
작성일
2023. 4. 14. 20:47
작성자
ssun_bear
반응형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63

 

1963번: 소수 경로

소수를 유난히도 좋아하는 창영이는 게임 아이디 비밀번호를 4자리 ‘소수’로 정해놓았다. 어느 날 창영이는 친한 친구와 대화를 나누었는데: “이제 슬슬 비번 바꿀 때도 됐잖아” “응 지금

www.acmicpc.net

소수를 유난히도 좋아하는 창영이는 게임 아이디 비밀번호를 4자리 ‘소수’로 정해놓았다. 어느 날 창영이는 친한 친구와 대화를 나누었는데:

  • “이제 슬슬 비번 바꿀 때도 됐잖아”
  • “응 지금은 1033으로 해놨는데... 다음 소수를 무엇으로 할지 고민중이야"
  • “그럼 8179로 해”
  • “흠... 생각 좀 해볼게. 이 게임은 좀 이상해서 비밀번호를 한 번에 한 자리 밖에 못 바꾼단 말이야. 예를 들어 내가 첫 자리만 바꾸면 8033이 되니까 소수가 아니잖아. 여러 단계를 거쳐야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예를 들면... 1033 1733 3733 3739 3779 8779 8179처럼 말이야.”
  • “흠...역시 소수에 미쳤군. 그럼 아예 프로그램을 짜지 그래. 네 자리 소수 두 개를 입력받아서 바꾸는데 몇 단계나 필요한지 계산하게 말야.”
  • “귀찮아”

그렇다. 그래서 여러분이 이 문제를 풀게 되었다. 입력은 항상 네 자리 소수만(1000 이상) 주어진다고 가정하자. 주어진 두 소수 A에서 B로 바꾸는 과정에서도 항상 네 자리 소수임을 유지해야 하고, ‘네 자리 수’라 하였기 때문에 0039 와 같은 1000 미만의 비밀번호는 허용되지 않는다.

입력

첫 줄에 test case의 수 T가 주어진다. 다음 T줄에 걸쳐 각 줄에 1쌍씩 네 자리 소수가 주어진다.

출력

각 test case에 대해 두 소수 사이의 변환에 필요한 최소 회수를 출력한다. 불가능한 경우 Impossible을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math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sys.stdin.readline

def checkPrime():
  for i in range(2, 100):
    if prime[i]==True:
      for j in range(2*i, 10000, i):
        prime[j]=False

def bfs():
  q=deque()
  q.append([start, 0])
  visited=[0 for i in range(10000)]
  visited[start]=1

  while q:
    x, cnt=q.popleft()
    strx=str(x)
    if x==end: return cnt

    for i in range(4):
      for j in range(10):
        tmp=int(strx[:i]+ str(j)+strx[i+1:])
        if tmp>=1000 and prime[tmp]==True and visited[tmp]==0:
          visited[tmp]=1
          q.append([tmp, cnt+1])

T=int(input())
prime=[True for i in range(10000)]
checkPrime()

for i in range(T):
  start, end=map(int, input().split())
  result=bfs()
  if result==None: print("Impossible")
  else: print(result)

문제 해결

BFS와 소수판별을 같이 해야하는 문제이다. 파이썬의 문자열과 정수형 변환을 적절히 이용하여 방문판단후 횟수를 파악하여 코드를 작성하였다. 난이도 매우 높은 문제

반응형
카테고리
작성일
2023. 4. 14. 20:44
작성자
ssun_bear
반응형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34

두 자연수 A와 B에 대해서, A의 배수이면서 B의 배수인 자연수를 A와 B의 공배수라고 한다. 이런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최소공배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6과 15의 공배수는 30, 60, 90등이 있으며, 최소 공배수는 30이다.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졌을 때, A와 B의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1 ≤ T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T개의 줄에 걸쳐서 A와 B가 주어진다. (1 ≤ A, B ≤ 45,000)

출력

첫째 줄부터 T개의 줄에 A와 B의 최소공배수를 입력받은 순서대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import math
n=int(input())
res=[]
for i in range(n):
    A,B=map(int, sys.stdin.readline().split())
    res.append(math.lcm(A,B))

for i in res:
    print(i)

문제 해결

파이썬의 LCM()을 이용하면 최소공배수를 쉽게 구할 수 있다.

반응형
카테고리
작성일
2023. 4. 14. 20:41
작성자
ssun_bear
반응형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32

 

1932번: 정수 삼각형

첫째 줄에 삼각형의 크기 n(1 ≤ n ≤ 500)이 주어지고,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정수 삼각형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7
      3   8
    8   1   0
  2   7   4   4
4   5   2   6   5

위 그림은 크기가 5인 정수 삼각형의 한 모습이다.

맨 위층 7부터 시작해서 아래에 있는 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아래층으로 내려올 때, 이제까지 선택된 수의 합이 최대가 되는 경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아래층에 있는 수는 현재 층에서 선택된 수의 대각선 왼쪽 또는 대각선 오른쪽에 있는 것 중에서만 선택할 수 있다.

삼각형의 크기는 1 이상 500 이하이다.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각 수는 모두 정수이며, 범위는 0 이상 9999 이하이다.

입력

첫째 줄에 삼각형의 크기 n(1 ≤ n ≤ 500)이 주어지고,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정수 삼각형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합이 최대가 되는 경로에 있는 수의 합을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input=sys.stdin.readline

n=int(input())
data=[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for i in range(1, n):
    for j in range(0, i+1):
        if j==0:
            data[i][j]+=data[i-1][j]
        elif j==i:
            data[i][j]+=data[i-1][j-1]
        else:
            data[i][j]+=max(data[i-1][j], data[i-1][j-1])

print(max(data[n-1]))

출력

DP의 누적합을 이용하는 문제이다. 다만 삼각형의 구조로 배열이 주어져 있어 배열의 시작과 끝을 주의해서 카운트해줘야한다.

반응형
카테고리
작성일
2023. 4. 14. 20:38
작성자
ssun_bear
반응형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31

 

1931번: 회의실 배정

(1,4), (5,7), (8,11), (12,14) 를 이용할 수 있다.

www.acmicpc.net

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 I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찾아보자. 단,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될 수 있다.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같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시작하자마자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회의의 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1 줄까지 각 회의의 정보가 주어지는데 이것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진다. 시작 시간과 끝나는 시간은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첫째 줄에 최대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input=sys.stdin.readline

n=int(input())
dict=[]
for i in range(n):
    s, e=map(int, input().split())
    dict.append([s,e])

dict1=sorted(dict, key=lambda x: (x[1], x[0]))

cnt=1
end=dict1[0][1]
for i in range(1,n):
    if dict1[i][0]>=end:
        end=dict1[i][1]
        cnt+=1

print(cnt)

문제 해결

파이썬의 딕셔너리를 활용하면 쉽게 풀수 있다. 문제의 조건에 따라 종료시간을 기준으로 먼저 정렬하고 이후 시작시간을 기준으로 다음 정렬을 진행하면 원하는 조건대로 만족하는 회의 최대개수를 출력할 수 있다.

 

반응형
카테고리
작성일
2023. 4. 14. 20:34
작성자
ssun_bear
반응형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29

 

1929번: 소수 구하기

첫째 줄에 자연수 M과 N이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M ≤ N ≤ 1,000,000) M이상 N이하의 소수가 하나 이상 있는 입력만 주어진다.

www.acmicpc.net

M이상 N이하의 소수를 모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M과 N이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M ≤ N ≤ 1,000,000) M이상 N이하의 소수가 하나 이상 있는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한 줄에 하나씩, 증가하는 순서대로 소수를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def isPrime(N):
    if N==1: return False
    for i in range(2,int(N**0.5)+1):
        if N % i==0: return False
    return True


a,b=map(int, sys.stdin.readline().split())
for i in range(a, b+1):
    if isPrime(i)==1:
        print(i)

문제 해결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하면 더 적은 시간복잡도의 코드로 작성할 수 있지만, 귀하는 단순 소수 판별 함수를 작성하여 코드를 제출했다.

반응형
카테고리
작성일
2023. 4. 14. 20:31
작성자
ssun_bear
반응형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24

 

1924번: 2007년

첫째 줄에 빈 칸을 사이에 두고 x(1 ≤ x ≤ 12)와 y(1 ≤ y ≤ 31)이 주어진다. 참고로 2007년에는 1, 3, 5, 7, 8, 10, 12월은 31일까지, 4, 6, 9, 11월은 30일까지, 2월은 28일까지 있다.

www.acmicpc.net

오늘은 2007년 1월 1일 월요일이다. 그렇다면 2007년 x월 y일은 무슨 요일일까? 이를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빈 칸을 사이에 두고 x(1 ≤ x ≤ 12)와 y(1 ≤ y ≤ 31)이 주어진다. 참고로 2007년에는 1, 3, 5, 7, 8, 10, 12월은 31일까지, 4, 6, 9, 11월은 30일까지, 2월은 28일까지 있다.

출력

첫째 줄에 x월 y일이 무슨 요일인지에 따라 SUN, MON, TUE, WED, THU, FRI, SAT중 하나를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mon, day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total=day
month=(31,28,31,30,31,30,31,31,30,31,30,31)
DAYOFWEEK=("SUN","MON","TUE","WED","THU", "FRI","SAT")
for i in range(mon-1):
    total+=month[i]
  
print(DAYOFWEEK[total%7])

문제 해결

2007년의 달에 포함된 날짜를 리스트 형태로 만들어서 해당 날짜까지의 합을 모두 더해 7로 나누어 계산한 요일을 출력했다.

반응형
카테고리
작성일
2023. 4. 14. 20:27
작성자
ssun_bear
반응형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20

 

1920번: 수 찾기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개의 수들이 주어지는데, 이 수들

www.acmicpc.net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져 있을 때, 이 안에 X라는 정수가 존재하는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개의 수들이 주어지는데, 이 수들이 A안에 존재하는지 알아내면 된다. 모든 정수의 범위는 -231 보다 크거나 같고 231보다 작다.

출력

M개의 줄에 답을 출력한다. 존재하면 1을, 존재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input=sys.stdin.readline

n=int(input())
data=set(map(int, input().split()))
m=int(input())
data1=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data1:
    if i in data: print(1)
    else: print(0)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strip())
given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given.sort()
m = int(sys.stdin.readline().strip())
find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for i in find:
    start = 0
    end = n - 1
    not_exist = True

    while start <= end:
        mid = (start + end) // 2
        if i == given[mid]:
            not_exist = False
            print(1)
            break
        elif i > given[mid]:
            start = mid + 1
        else:
            end = mid - 1
    if not_exist:
        print(0)

문제 해결

코드 2는 이분탐색을 활용하여 코드를 작성한 코드이다.

코드 1은 파이썬의 집합의 자료구조형을 활용하여 O(1)의 시간복잡도로 원소의 포함여부를 파악할 수 있음을 활용하여 풀이한 코드이다.

 

반응형